•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서울신약소식 > News
    제목 [공지사항]겨울철 가축 분뇨 퇴·액비화 시설관리 요령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16-12-16 오후 2:52:23 조회 575
    첨부
    • 겨울철_가축_분뇨_퇴액비화_시설관리_요령.pdf
    *첨부파일 있음

    겨울철 가축 분뇨 퇴·액비화 시설관리 요령
    ​
    - 낮은 온도로 인한 발효 효율 저하 막아야 -

    ​
    ​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겨울철 축산 농가들이 가축분뇨 퇴‧액비화 시설 운영을 위한 기술과 관리요령 등을 제시했다.
    ​
    ​
     농가 규모의 퇴‧액비화 시설은 바깥 기온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낮은 온도와 큰 눈은 시설의 효율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장비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미리 점검해야 한다.
    ​
    ​
     겨울철에는 축종별 축산농가의 퇴비화 효율이 낮아지므로 시설의 보온관리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지붕이나 벽 틈새로 찬 공기가 들어오지 않도록 한다.
    ​
    ​
     윈치커튼의 훼손된 부분이 있으면 수리하고 커튼을 내렸을 때 벌어지는 부분이 없도록 정비하고 특히 찬바람이 불어오는 서쪽 또는 북쪽 벽면은 보온관리에 각별히 유의한다.
    ​
    ​
     지붕이 파손되면 누수가 얼어붙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뿐 아니라, 퇴비단에 물이 떨어져 퇴비화 효율이 낮아지므로 바로 수리한다.
    ​
    ​
     퇴적식 퇴비단의 경우, 추운 날에는 뒤집기를 자제하고 뒤집기가 필요하다면 2일∼3일간 따뜻한 날을 골라 한 낮에 실시한다. 퇴비단 위치는 가급적 온도가 높은 남쪽으로 정한다.
    ​
    ​
     송풍 퇴비단의 경우, 송풍기 가동은 한 낮에 실시하고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밤에는 송풍을 멈추도록 한다. 기계 교반식 퇴비단도 마찬가지로 온도가 높은 시간에 교반기를 작동한다.
    ​
    ​
     액비화 시설은 보온과 폭기 관리에 유의한다.
    ​
    ​
     농가형 시설에서 액비온도는 되도록 7℃ 이상 유지 하는 것이 좋다. 지상형 액비화 시설은 지붕과 벽체 사이에 공간을 보온 덮개 등으로 막아 내부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는다.
    ​
    ​
     송풍 시설은 밤보다는 낮 동안 가동하며 액비 윗부분이 완전히 얼었을 때에는 가동하지 않도록 하고, 필요하다면 얼음을 깨뜨린 다음에 가동해야 송풍장치의 고장을 막을 수 있다.
    ​
    ​
     돈사(돼지우리) 슬러리(분뇨혼합액)를 유입할 경우에는 하루 중 슬러리 온도가 가장 높은 시간대를 선택하고 작업완료 뒤에는 배관에 남아 있는 액체를 완전히 없애야 한다.
    ​
    ​
     겨울철에는 퇴비화 및 액비화 시설에 설치된 전기시설을 수시 점검해 누전이나 합선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한다.
    ​
    ​
     시설 지붕에 매달린 고드름이 떨어지면 부상이나 시설 고장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없애도록 한다.
    ​
    ​
     농촌진흥청 축산환경과 정광화 농업연구사는 “농가들이 겨울철 퇴‧액비화 시설관리 요령을 통해 질 좋은 가축분뇨 퇴‧액비를 생산하고 이듬해 영농철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전했다.
    ​
    ​
    <문의처 : 축산환경과 정광화 농업연구사, 063-238-7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