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
    • 원인
      마이코플라즈마 갈리셉티쿰(Mycoplasma gallisepticum, MG) 및 마이코플라즈마 시노비에(M. synoviae, MS)에 의한 감염증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닭에서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다. 특히 칠면조의 경우는 교미에 의해서 전파되는 성병으로써 근절이 매우 어려운 질병이다. 그밖에도 마이코플라스마균에 오염된 종란으로 타 생독백신을 제조할 시 백신에 의해서도 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다.

      1. 정의
      ○ 만성적인 호흡기 증상을 주증으로 하는 만성호흡기 질병(Chronic respiratory disease:CRD)과 관절염을 주증으로하는 마이코플라즈마성 관절활막염(infectious synovitis)을 총칭한 질병임.
      ○ 바이러스나 다른 세균과 복합감염될 경우 흔히 복합만성호흡기병(complicated chronic respiratory diseas:CCRD)이라 불려짐.
      ○ 칠면조에서는 안와하동이 붓기 때문에 전염성동염(infectious sinusitis)라 함.

      2. 병원체
      ○ 조류에 감염되는 마이코플라즈마는 17종이 존재하며, 그중 8종이 닭에서 분리됨.
      (Mycoplasma gallisepticum, M. synoviae, M. gallinaceum, M. gallinarum, M. iners, M. iowae, M. lipofaciens, M. pullorum)
      ○ 닭에서 병원성이 높은 것은 M. gallisepticum(MG)와 M. synoviae(MS)이며, 칠면조는 M. meleagridis(MM)임.
      ○ 숙주를 떠나서는 저항성이 약하며, 몸밖으로 배출된 균은 실온에서 1~3일 이상 생존하지 못하지만 저온에서는 저항성이 강하여 비교적 장기간 생존이 가능함.
      ○ 페니실린 계통의 항생제에는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음.

      3. 전염경로
      ○ 닭에서 닭으로 전파되는 수평감염과 종계의 종란을 통하여 병아리에 감염되는 수직전염(난계대전염)으로 감염됨.
      ○ 수평감염은 호흡기로부터 배출된 비말에 직접 노출되거나 균에 오염된 먼지, 사료 및 음수를 통하여 계군내에 쉽게 전파됨.
      ○ 수직감염은 난소나 수란관의 상피세포에 감염된 균 또는 오염된 정액에 의해 난관을 통해 난황에 감염됨으로써 난계대 전염이 이루어짐.
    • 증상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증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당부분이 만성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급성 전염병과 같은 뚜렷한 증상은 잘 관찰할 수 없다. 그러나 일단 감염되면 대장균증이나 전염성기관지염 등의 질병 발생률이 뚜렷히 증가하며 따라서 난질의 저하와 계태아의 폐사율 증가 및 유약한 병아리의 생산량이 상승한다. 또한 마이코플라즈마균을 가지고 태어난 병아리의 경우 뉴캣슬병생독백신 등의 접종시 부작용이 증가하고 따라서 여러 바이러스성 질병에 대한 야외감염에 대하여서도 다른 건강한 병아리보다 쉽게 노출되어 항상 만병의 근원이 된다. 그 외에 사료효율 감소와 많은 투약비용이 추가되는 것을 고려한다면 MG는 분명히 양계농가에 큰 손실을 가져다주고 있는 것만은 사실이다.

      ○ 콧물, 호흡음 이상 및 기침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며 육수와 육관이 창백하며 야위고 성장이 지연되며 우모가 거칠고 원기가 없어 보임.
      ○ 이병율은 5~75%로 다양하나 높은 편이며 폐사율은 10%이내로 낮음.
      ○ 대장균이나 전염성 기관지염등과 혼합감염시 증상이 심해짐.
      ○ 부검시 비강, 안와하동, 기관에 다량 점액이 관찰되며, 기낭이 혼탁하고 거품이 축적되어 있음.
      ○ 관절이 종창되거나 발바닥이 붓고 파행증세를 나타내면서 걷기를 싫어함(MS).
      ○ 관절부위의 절개시 점액성의 노란 치즈같은 삼출물이 쉽게 관찰됨.
       
    • 예방 및 치료
      MG와 MS의 방제과정은 주로 종계장에서 MG 및 MS 부재계군을 작성하여 이 질병의 난계대전염을 예방하는 데 집중되어 있으며, 실용계 농장의 경우는 마이코플라즈마 부재 병아리를 구입하고 철저히 격리사육하여 이 질병의 유입을 차단하는 방식이 권장되고 있다.
      현재 주로 이용되는 방제프로그램은 정기적인 혈청검사를 통하여 계군의 감염유무를 검색하고 또한 육성기 동안 적절한 투약을 병행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산란율 저하를 예방하기 위하여 백신을 이용하기도 한다.
       
      1. 치료
      ○ 오염된 농장 또는 감염된 종계에서는 부화된 병아리에 대하여 예방 또는 치료목적으로 약제를 선발하여 투약을 실시할 수 있지만 병원체를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려움.

      2. 예방
      ○ 종계군에 대한 마이코플라즈마균의 부재계군(청정계군) 유지가 중요하며 위생적인 사양관리 및 차단방역을 통하여 농장내로의 균유입을 막아야 함.
    • 관련제품
      • 콤비프린스(..
      • 서울-암피스..
      • 서울-암피스..
      • 틸모액(Tilm..
      • 파워티아액(..
      • 파워로신 5..
      • 파워로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