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추백리(Pullorum disease)
    • 원인
      1. 정의
      ○ 초생추에서 백색의 설사를 유발하는 소화기계의 전염병
      ○ 높은 폐사율을 나타내며, 닭 이외에 칠면조, 메추리, 꿩 등에서도 발생될 수 있음.

      2. 병원체
      ○ Salmonella pullorum
      ○ Salmonella gallinarum과 같은 혈청형으로서 생화학적 성상 차이가 있으나, 동일한 균체항원구조를 가지고 있음.
      ○ 표준형, 중간형 및 변이형으로 분류하며, 표준형의 항원은 123이 많고 122는 소량을 함유하고 있으며, 변이형은 이와 반대로 구성되어 있고, 중간형은 123와 122가 혼합되어 있음.

      3. 전염경로
      ○ 난계대전염시 부화 후 2~3일부터 발생하기 시작됨.
      ○ 난계대전염으로 인한 동거감염시 2~3주령때도 발생됨.
      ○ 감염후 폐사되지 않고 내과한 병아리는 보균계가 되어 다음 세대로 병원체를 전파 시키는 감염원이 됨.
    • 증상
      ○ 1900년에 처음으로 병원체가 분리되어 보고된 이후 전세계적으로 발생함.
      ○ 우리나라에서는 1940년부터 발생함.
      ○ 난계대 전염병인 경우 부화 전후 패혈증으로 죽거나 부화되어도 발병으로 인한 백색 설사를 하고 석회와 같은 설사변이 항문주위에 부착되어 지저분함.
      ○ 3주이내 감염시 폐사율이 100%에 가깝지만 일령이 많아지면 폐사없이 내과하여 보균계로 됨.
      ○ 병아리는 갑자기 발병하여 패혈증으로 죽지만 특이한 병변은 없음.
      ○ 중추 및 성계는 뚜렷한 증상없이 장기간 계군에 감염됨.
      ○ 간, 난소 및 장에 심한 병변이 생겼을 경우 산란율이 저하되고 수정율이 떨어지며 부화율이 현저히 감소됨.
      ○ 비장종대, 신장, 충혈 및 요산염
      ○ 맹장내가 치즈양 물질로 팽대될 수 있음.

       
    • 예방 및 치료
      1. 예방
      ○ 모계로부터 난계대 전염이 중요하므로 종계로 부터의 전염경로를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임.
      ○ 종계는 의무적으로 검색하여 양성계는 도태하여야 함.
      ○ 종란소독과 더불어 종계장의 위생을 철저히 함으로써 전염을 막는 것이 가장 중요한 사항임.
      ○ 철저한 차단방역 실시.

      2. 치료
      ○ 항균약제 치료시에도 추백리균이 보균계의 난소에 존재하면 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음.
      ○ 항균약제 투여시 완치는 어려우나 폐사율과 이환율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는 있음.
    • 관련제품
      • 암피믹스(Am..
      • 하이실린(Hi..
      • 슈프림믹스산..
      • 슈프림믹스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