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조류 대장균증(Avian colibacillosis)
    • 원인
      1. 정의
      ○ 조류의 병원성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의해 발생되는 국소적 또는 전신적 감염증으로서 패혈증, 육아종, 기낭염, 수란관염, 관절염 등의 다양한 질병을 유발함. 가금에 있어서 대장균증은 호흡기질병과 관련해서 주로 나타나며 가금산업에 있어서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초래하는 중요한 질병임. 대장균은 닭이나 포유동물의 정상 장내세균총으로 존재하면서 원발적 또는 2차적으로 장기 및 장에 병변을 형성하며 다른 세균 및 바이러스와 혼합감염하여 다양한 질병을 일으킴. 대장균증은 불결한 환경에서는 언제나 발생할 수 있어 위생적인 사양관리에 의한 예방이 매우 중요함.
       
      2. 병원체
      ○ 원인체는 Escherichia coli
      ○ 대장균은 그람음성 간균으로서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균으로 건강한 조류, 사람, 포유동물의 소화관 및 대장내에 서식하고 있음. 항원구조에 따라 균체(O)항원, 협막(K)항원 및 편모(H)항원으로 구분하는데 현재 균체항원은 167개, 협막항원은 74개, 편모항원은 53개가 알려져 있음. 감염계에서 분리되는 혈청형은 지역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일반적으로 O1, O2, O35, O78의 혈청형에 속하며 이 균이 대장균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3. 전염경로
      ○ 대장균은 전세계 어디에나 분포되어 있으며장내에 존재하여 분변을 통해 체외로 배설됨. 대장균은 건조에 저항성이 강해 계분, 깔짚, 토양, 먼지, 부화기내의 솜털 등에 오염이 쉽게 일어날 수 있으며 오염물질을 통한 경구감염, 호흡기 감염 및 기회감염에 의해 질병이 유발됨. 복막염 및 수란관염등에 의하여 난계대전염이 되며, 난각에 부착하여 종란 속으로 침투하기도 함. 사육환경이 나쁘고 환기가 불량하면 흔히 발생하며 계사내에 암모니아 가스에 의한 자극시 악화되어 기낭염 및 심낭염이 나타날 수 있음.
    • 증상
      ○ 대장균성 패혈증(E. coli-septicemia)
      대장균성 패혈증은 호흡기 유래 패혈증과 장 유래 패혈증이 있으며 호흡기 유래 패혈증이 가장 흔한 유형의 패혈증임. 호흡기 유래 패혈증은 전염성기관지염 바이러스(IBV)와 뉴캣슬바이러스(NDV) 및 호흡기 생독백신 바이러스와 마이코플라즈마균 등과 복합감염되었을 때 복합적으로 호흡기질병을 유발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특히, 각종의 환경요인에 의해 손상을 받은 호흡기계는 호흡기도를 통해서 유입되는 대장균의 침입을 방어해 내지 못하게 되며 그 결과 감염된 질병을 흔히 기낭병(air-sac disease) 또는 복합만성호흡기병(CCRD)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심낭염과 간포막염이 흔히 나타남.

      ○ 기낭염(Air sacculitis)
      호흡기 질병의 속발증으로 대장균이 손상된 호흡기도로 침입한 후 기낭에 국한되어 병변을 형성한 후 만성적으로 진행되는 형태임. 기낭은 비후되고 건락성 치즈양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호흡곤란을 일으킴.

      ○ 장염(Enteritis)
      소화기관의 대장균 감염은 사전에 콕시듐증, 괴사성장염, 흑두병, 기타 곰팡이성 및 기생충 감염으로 인한 손상이 있을 때 발생함. 장 감염은 불량한 환경에서 영양부족 등의 스트레스 요인에 의하여 발생하기도 함. 병변은 심한 염증과 확장, 비후 및 부종성을 띠며 혈액과 점액이 장내에 들어 있음. 감여된 계군은 설사로 인한 탈수로 빨리 쇠약해 짐.

      ○ 수란관염(Salpingitis)
      좌측 복기낭에 대장균이 감염되었을 때, 많은 경우 난관전체의 벽이 얇아지고 난관내에 커다란 건락성 덩어리의 존재로 특징지어지는 만성 수란관염으로 발전됨. 감염된 닭은 외부 증상 없이 산란을 계속하나 알이 감염부위를 통과할 때 오염 또는 감염됨. 이러한 종란으로 부화할 때 태아는 부화전에 폐사하거나 부화되자마자 난황 감염과 복막염으로 폐사함. 또 패혈증으로 인한 폐사도 일어날 수 있음. 만성 수란관염시 산란율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에는 수란관내 난황축적으로 인해 암탉이 폐사하기도 함.
    • 예방 및 치료
      1. 예방
      ○ 대장균증의 예방을 위해서는 호흡기를 통한 대장균의 감염기회를 줄여야 하며 무엇보다도 닭의 품질에 있어서부터 마이코플라즈마가 없는 계군 유래의 병아리를 사육해야 함. 또한 호흡기질병을 유발하며 대장균의 침입을 용이하게 만들어주는 바이러스성 호흡기질병들도 백신의 접종으로 철저히 예방하여야 함. 호흡기의 손상을 감소시키기 위해 분변처리를 자주 해주고 적절한 환기관리를 실시해 주어 호흡기를 통한 대장균의 감염증을 예방하도록 함. 설치류의 분변이 주요한 병원성 대장균의 근원이 되며, 분변에 오염된 지하수 역시 많은 수의 대장균을 포함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위생적인 관리에도 신경을 써야함. 그리고 계군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전파원인인 종란의 분변오염으로서 종란이 생산된 지 2시간이내에는 훈증소독이나 소독약에 침지시켜 소독을 해주면 전파의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음.

      2. 치료
      ○ 항균약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감수성 시험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약제를 선발하여야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내성균 출현과 같은 부작용으르 최소화 할 수 있음. 초기 병아리의 폐사는 처음 몇 일 동안의 투약으로 감소될 수 있음. 심하게 감염된 병아리는 사료 섭취 및 음수량의 감소로 인하여 치료반능이 잘 나타나지 않음.
       
    • 관련제품
      • 암피믹스(Am..
      • 서울-암피스..
      • 서울-암피스..
      • 아목신-50..
      • 서울-슈프림..
      • 플로펜액20..
      • 플로펜액10..
      • 플로펜액(Fl..
      • 하이실린(Hi..
      • 서울-아목신..
      • 프로퀸산(Pr..
      • 프로퀸-액
      • 슈프림믹스산..
      • 슈프림믹스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