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돼지단독(swine erysipelas)
    • 원인
      1. 개요
      돼지단독은 Erysipelothrix rhusiopathiae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는 질병으로 다이아몬드형의 피부병변, 그리고 관절염, 심내막에 염증 등을 나타내는 폐사율이 높은 돼지의 제2종 법정전염병이며,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1912년 처음 발생보고가 있었으며, 1947년도에 최초로 균분리가 되었고, 1963년부터 이 질병의 예방을 위해서 생균백신이 개발되어 접종되고 있다. 이 질병은 1993년에 382두, 1994년에 118두, 1995년도에는 37두가 발생한 바 있고 1996년 이후에도 계속해서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이다.
      연중 발생하지만 돼지단독의 감염원은 보균돈의 분변이나 오줌, 타액 및 비강분비물에 의해 쉽게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분비물들은 물과 사료 및 환경을 오염시켜 항체가가 낮은 돼지에게 병을 일으킨다.
       
      2. 정의
      ○ 돼지단독은 Erysipelothrix rhusiopathiae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급성 패혈증, 다이아몬드형의 피부병변, 관절염, 심내막염 등을 나타내는 질병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 1912년 처음 발생보고가 있었으며, 1947년도에 최초로 균 분리가 되었고, 그 이후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1993년도에는 392두가 발생한 바 있고 1996년 이후에도 매년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경제적 피해를 주고 있는 실정임.

      3. 병원체
      ○ 돼지 단독의 원인체인 E. rhusiopathiae 는 그람 양성 단간균으로서, 22개의 혈청형과 N형이 있음.

      4. 전염경로
      ○ 돼지 단독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고, 많은 포유류나 조류 이외에 냉혈동물에서도 분리됨.
      ○ 외관상 정상인 돼지에서도 편도나 장관의 림프계 조직 등에 돼지 단독균이 존재하고, 분변 등에서 수시로 배출됨.
      ○ 돼지단독균은 건강한 돼지의 편도선에 잠재하고 있다가 돈군의 영양상태 불량 및 면역저하시에 체내로 침입하여 병을 일으킴.
    • 증상
      돼지단독의 임상 증상은 급성형의 패혈증과 피부병변, 만성형의 관절염과 심내막염으로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의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양돈장에서는 비육돈이 급사하는 패혈증으로 시작되어 유산, 피부형단독, 만성관절염 등으로 진행되어 막대한 손실을 입히며, 돼지의 항체 보유상태 및 치료시기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크게 다른 경과를 보인다.
       
      ○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하지만 주로 3~6개월령의 육성돈에 감수성이 높음.
      ○ 연중 발생하지만 여름철에 발병이 많은 것은 외부 온도가 높기 때문에 미생물의 증식과 생존이 활발하며 더위에 의한 스트레스로 돼지에 감염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기 때문임.
      ○ 돼지 단독의 임상증상은 급성형의 패혈증과 피부병변, 만성형의 관절염과 심내막염으로 구분할 수 있음.
      ○ 대부분의 경우 예방접종을 하지 않은 양돈장에서는 비육돈이 급사하는 패혈증으로 시작되어 유산, 피부형단독, 만성관절염 등으로 진행되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히며, 돼지의 항체 보유상태 및 치료시기에 따라 그 피해 정도가 크게 다른 경과를 보임.

      1. 급성 패혈증 : 특별한 증상없이 갑자기 폐사하거나 식욕감퇴 혹은 절폐를 나타내며 41~42℃ 의 발열, 원기상실, 호흡곤란 등을 볼 수
      있으며 심한 경우는 50% 이상이 폐사한다.

      2. 피부형 (담마진) : 경도의 식욕부진을 나타내고 발열과 함께 체표에 특유의 발진이 나타나는데 초기반점은 원형으로 보이며 점차 붉
      은색에서 적자색으로 변하고 정상피부와 경계가 분명하게 부어오르며 만지면 딱딱하고 경과되면 탈락한다.

      3. 관절염형 : 관절의 종창으로 인해 절룩거리거나 뻣뻣하게 걷는다.

      4. 심내막염형 : 심내막의 염증으로 인한 호흡곤란, 기침, 발육불량을 보이며 수송시 폐사한다.
       
       
    • 예방 및 치료
      예방은 돈사주위의 소독, 돈방의 철저한 청소, 외부차량과 기구 등의 소독, 외부인 출입제한, 신선한 사료급여 및 충분한 영양관리로써 발병요인을 최소화시켜야 한다.
      돼지단독 예방목적으로 여러 가지 생균 및 사균백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국내에서 생산되어 공급되고 있는 약독생균백신은 돼지 체내에서 균이 증식하여 면역형성을 일으키며 1회 주사함으로써 6개월간 면역된다. 사균백신은 병원성 돼지 단독균을 불활화시켜 만든 백신으로 현재 대장균, 위축성비염, 파스튜렐라성 폐렴 등의 예방약과 혼합된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2회 주사로써 6개월간 면역된다. 농장의 방역프로그램에 따라 다르지만 자돈에는 생균백신을, 모돈에게는 다른 질병도 동시에 예방시킬 수 있는 사균 복합백신을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방접종은 임신한 돼지에 분만 4~6주전에 접종함으로써 새끼돼지가 초유를 통해 이행항체를 획득하여 7~8주간 면역이 지속되도록 하고 어린돼지는 생후 8주경에 예방주사를 하지만 비육말기에 이르러 항체가 소실됨에 따라 발병할 수도 있으므로 12주경에 다시 주사하여 면역을 보강해주면 이 병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백신접종시 다른 백신과 혼합하여 사용하면 돼지단독 예방효과가 소실되므로 주의해야 하며 생균백신을 접종할 때는 접종전후 1주일간 항생물질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고 수송, 이동 등으로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에는 미리 예방주사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돼지단독의 효과적인 예방, 치료 및 박멸 방법을 수립하기 위하여 폐사된 돼지의 비장, 간, 신장 등 내부장기를 무균적으로 채취하여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나 각 시도 가축위생시험소에 연락하면 정확한 진단으로 돼지단독의 적극적인 박멸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치료는 다른 질병과 마찬가지로 신속하게 대처할수록 원인 균을 사멸시키고 조직이나 장기의 손상이 적고 회복속도가 빠르다. 패혈증형은 급성의 경과를 취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지 않게 주위의 돼지에게 예방적으로 페니실린 등을 주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돼지 단독 치료시 권장되는 항생제로는 페니실린이며 1일 2회 2~3일간 완치될 때까지 계속 근육내에 주사하여야 하며, 페니실린과 테트라사이클린계 또는 스트렙토마이신을 함께 주사하는 것도 좋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완벽하게 치료하지 않으면 만성형 돼지단독으로 이행될 뿐만 아니라 한번 앓고 난 돼지는 보균 돈이 되어 차후의 발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치료는 돼지단독에 대한 바람직한 대책이 아니다.
       
    • 관련제품
      • 아목시탑 1..
      • 암피믹스(Am..
      • 콤비프린스
      • 하이실린(H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