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글래써병
    • 원인
      1. 개요
      돼지 글래서병은 다발성 장막염, 다발성 관절염, 뇌막염 및 급성 패혈증을 유발하는 질병으로서 호흡기 증상 외에 기립불능과 신경증상을 나타낸다. 또한 이 질병은 폐와 흉막에 섬유소성 염증을 일으키며 갑자기 폐사하기 때문에 흉막폐렴과 감별이 요구된다. 두 질병간의 차이점은 흉막폐렴은 폐와 흉강에만 병소를 형성한다는 것이다. 본 균은 많은 정상 돼지의 비인두에 상존해 있으며 감염돼지의 임상증상은 기침, 발열, 식욕결핍 등 독감 증상을 나타낸다. 이 병은 유럽을 비롯하여 호주, 캐나다, 미국, 일본 등 세계 각처에서 발병하며 폐사율이 높은 질병이다. 발생은 주로 밀사, 환기불량, 한냉, 암모니아 가스의 축적, 사료의 급변, 사양환경의 급변, 단수, 기후의 불순, 돼지 유행성 폐렴 등 만성질병에 의한 기능저하와 장거리 수송과 이동에 의한 스트레스에 의해서 발병한다.
       
      2. 정의
      ○ 돼지 글래써병은 주로 5~9주령의 돼지에서 발생하며 세균인 Haemophilus parasuis가 원인균임.
      ○ 밀사, 기후 변화등 스트레스 요인이 이 질병의 발생에 관여함.
      ○ 부검시 섬유소성 화농성 다발성 장막염이 특징인 질병임.

      3. 병원체
      ○ Haemophilus parasuis
      ○ 그람 음성 구간균임
      ○ 쵸콜렛 배지 또는 말 혈액배지에 10% 탄산가스에서 37℃, 24~48시간 배양시 회백색, 반투명 집락 형성함.
      ○ 분리균은 사멸되기 쉬워서 신속히 계대 동정함.
      ○ H. parasuis 는 포도상 구균 주위로 잘 자라는 위성현상이 관찰됨.

      4. 전염경로
      ○ 사양환경의 급변, 수송, 밀사, 기후의 급변 등 스트레스가 유발인자임.
      ○ 비강 점막을 통해 호흡기계로 감염. 따라서 점막의 손상이 이 질병의 감염을 촉진시킴

       
    • 증상
      갑자기 발병하며 경과는 심급성에서 급성이며 종종 육성기 돼지에서 발생한다. 초기에는 고열, 침울, 기립불능, 식욕부진이 나타나며 피부에는 청색증, 눈과 귀에는 피하부종이 있고 결막은 발적된다. 호흡은 정상일 수 있으나 호흡곤란으로 변화한다. 감염된 돼지는 절뚝거리며 견좌자세를 취한다. 관절은 붓고 열감이 있으며 아파한다. 뇌막염이 있는 돼지는 근육 진전, 후구의 보행실조, 횡와하는 경우도 있다. 부검소견으로는 복강과 심낭강에 다량의 담황갈색 수액이 차있고 흉강 및 복강 장기막에 노란 섬유소 파편이 붙어있다. 이로 인해 폐엽 사이와 흉강장기의 유착이 일어날 수 있다. 폐엽의 암적색 경화소 (폐렴)부위는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뇌막의 발적과 혼탁함을 관찰할 수 있으며 후지관절의 종창이 있는 경우 관절낭의 발적, 비후와 활액의 증가를 관찰할 수 있다.
       
      ○ 주로 5~9주령의 육성, 비육돈에서 발생하며 계절에 관계없이 연중 발생함.
      ○ 발열, 구토, 신경증상, 관절염
       
    • 예방 및 치료
      임상 증상을 나타내는 즉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는 비경구로 투약해야 한다. 치료는 24시간 간격으로 반복해서 해야 하며 감염돈군의 돼지 모두 치료해야한다. 치료약이 뇌척수액이나 관절로 침투해야 하므로 고농도를 써야한다. 주로 감수성 약제는 penicillin, ampicillin, chloramphenicol, cotrimoxazole (trimetophrim+sulfonamide), tetracyclin 등이고 streptomycin, neomycin, gentamicin, sulfonamides등은 잘 치료가 되지 않는다.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질병은 청정돈군내에서 자주 발생하고 스트레스가 본 병의 발생에 주요 원인이므로 돈군내에 스트레스 요인을 줄이는데 주력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이다.
       
      1, 예방
      ○ H. parasuis 예방약을 주사.
      ○ 돈사 내,외부의 정기적인 소독

      2. 치료
      ○ 한번 감염되면 급사하거나 위축되는 경우가 많음
      ○ 보통 증상이 급속하게 진행되므로 치료하기가 어려움
      ○ 보통 원인균을 분리한 후 분리균에 대해 약제 감수성을 조사하여 투약함.
       
    • 관련제품
      • 아목시탑 1..
      • 브로민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