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위축성비염
    • 원인
      1. 정의
      ○ 돼지 위축성비염(Atropic rhimitis : AR)은 대부분의 양돈장에 상재하는 돼지의 만성호흡기 질환
      ○ 비강에 침입한 병원체 (Bordetella bronchiseptica, Pasteurella multocida type D)에 의해 비강점막의 염증을 일으키고, 점점 병세가 진행될수록 비갑개골과 상악골의 위축이 되고, 좀 더 지나면 코가 비뚤어지는 특성을 가진 질병
      ○ 어린 일령의 자돈에 감염이 쉽게 일어나고 본 병이 감염되면 사료효율과 증체율도 떨어지어 양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주는 호흡기 질병

      2. 병원체
      ○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Bordetella bronchiseptica)균이 주요 병원체이며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D형(Pasteurella multocida type D)이 2차적으로 감염시 증상이 심해진다.

      3. 전염경로
      ○ 위축성비염 감염돈은 콧물속에 병원체가 배출되어 코끝을 통한 직접 접촉에 의한 감염과 먼지에 부탁된 병원체가 공기를 통해 전파됨.
      ○ 돈사의 위생, 환기상태불량, 유독가스(암모니아가스)의 체류 등은 위축성비염 전파를 빠르게 하고, 증상을 악화시킴.
    • 증상
      ○ 처음에는 가벼운 재채기에서 시작되어 점차 코에서 점액성의 농이 배설되고, 눈이 붓고 충혈 되며 눈물이 나고, 눈가에 먼지가 부착되어 검은 반점이 생긴다.
      ○ 심한 경우 코에서 출혈이 생기고 콧등의 피부가 주름지며 생후 4~5주령부터 안면의 변형과 코가 비뚤어진다. 이때부터 유행성 폐렴이나 흉막폐렴 등 호흡기 질병이 증가한다.
      ○ 만성경과 돼지는 사료효율과 증체량이 보통 20%씩 떨어진다.

      ○ 진단의 경우 육안적으로 기침이나 비강의 분비물, 코가 비뚤어지는 외관상의 임상증상을 통해 관찰할 수 있으며 폐사돈은 부검하여 비갑개의 위축정도를 확인한다.
      ○ 혈청학적 진단법은 거의 모든 돼지에서 항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효과적인 방법이 되지 못하나 Bordetella bronchiseptica만 선택적으로 배양하는 선택배지를 이용하여 코끝이나 비강주변을 멸균면봉으로 채취하여 배양하면 쉽게 원인체를 분리할 수 있다.
       
    • 예방 및 치료
      1. 예방
      ○ 돈사 및 돈방기구를 철저히 소독하고 적절한 환기와 보온을 유지 (번식돈 : 12~18℃, 비육돈 : 20~23℃, 일교차는 8~10℃ 이상 차이나지 않도록 유지)
      ○ 임신돈, 이유자돈, 육성돈의 입식전 소독을 철저히 한다.(All in All out sysyem 이용이 적절)
      ○ 톱밥발효돈사는 돈사내 수분조절장치 설치 및 환기를 철저히 하고 어린 일령의 자돈에 쉽게 감염이 일어나므로 백신접종은 모돈과 자돈에 동시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보데텔라 브론키셉티카와 파스튜렐라 멀토시다 톡소이드 첨가백신이 효과적임)

      2. 치료
      ○ 감염돈에 대해서는 감수성 있는 약제를 선발하여 사용하거나 조기발견시 도태시킴으로서 동거돼지의 전파를 미연에 방지한다.
       
    • 관련제품
      • 서울 아목시..
      • 콤비프린스
      • 아목신 울트..
      • 서울-브롬산..
      • 서울-슈프림..
      • 서울-타이라..
      • 서울-브롬산..
      • 슈프림플러스..
      • 서울-브롬액..
      • 슈프림액
      • 브로민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