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돼지증식성장염(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
    • 원인
      돼지 증식성 장염(porcine proliferative enteropathy)은 로소니아 인트라셀룰라리스(Lawsonia intracelluraris)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으로 임상증상과 병변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까닭에 '급성 출혈성 회장염', '괴사증식성 질병', '증식성 회장염'등으로도 불린다.
      회장염은 감염된 돼지가 이동이나 장거리 수송, 합사 및 돈군 재배치, 기온의 급변, 과밀 사육, 사료의 급변 등 여러 가지 스트레스 요인이 생기면 발생한다. 또한 동거 돈 중 일부 돼지가 발병하면 급속히 전파될 수 있다. 자돈, 육성 ,비육돈 , 후보돈 및 모돈 시기에 발생하는 소화기 질병으로 만성설사, 성장부진, 사료 효율 저하 및 도태 돈이 증가하여 경제적으로 피해를 주는 질병이다. 이 질병은 종돈장 및 사양관리가 우수한 일괄 생산 농장에서도 발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1. 정의
      ○ 돼지 증식성 장염은 Lawsonia intracelluraris에 의해 발생되는 질병으로 6~20주령의 비육돈 출하 시기에 소장 점막의 비후는 물론 대장점막까지 비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으로 사료효율저하, 증체량 감소, 시장출하 시기 지연, 폐사등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심각한 질병임

      2. 병원체
      ○ 원인체는 그람음성의 곡선 모양의 끝이 가늘거나 둥근 모양인 Lawsonia intracelluraris이며 이 세균은 일반 인공배지에서는 자라지 않으며 세포내에서만 증식함.

      3. 전염경로
      ○ 감염된 돼지의 설사 분변이 주요 감염경로이며, 오염된 사료나 물 등을 통해 전파될 수 있음.
      ○ 감염된 돼지를 입식하거나, 차량이나 사람의 이동에 의해 양돈장내에 들어와 밀사, 갑작스런 사료변경, 수송스트레스가 가해졌을 경우 발생할 수 있음.
       
    • 증상
      임상증상은 사료 섭취량 감소, 연변, 불규칙 적인 설사 및 혈변을 보인다.
      회장염 발생 돼지의 병변 형성 부위는 회장부위를 비롯하여 결장, 맹장, 공장 및 직장 부위에서 광범위 하게 감염이 일어나고 있음이 밝혀졌다.
      부검소견으로는 회장과 결장부위에 장벽이 심하게 두꺼워져 있으며 심한 출혈성 병변도 보인다.
      육성돈에서는 장벽의 비후와 위막이 형성되며 장을 절단하여 보면 장벽이 두껍게 변해 있어 증식성 장염의 전형적인 병변을 보인다.

      ○ 일반적으로 연변과 성장 지체, 육성후기의 만성적인 성적 저하 등을 주요 증상으로 하는 만성적인 회장염소견을 나타내거나 폐사의 원인이 될 수 있는 회장, 맹장, 결장부위 점막조직의 증식과 출혈을 동반한 급성 출혈성장염을 나타냄.
       
    • 예방 및 치료
      이 질병의 병원체가 일단 양돈장내에 들어오면 실제 박멸이 불가능하고 고질적인 상재 상태로 남으며 이 병의 예방을 위한 유효한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으므로 무엇보다도 질병의 농장내 유입을 막아야 한다. 실험실내에서 이 세균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실시한 결과 페니실린, 에리트로마이신, 디플로싸실린, 버지니아마이신,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이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염된 돼지에 타이로신을 구강으로 투여시 이 질병의 치료와 예방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항생제 치료와 더불어 이 질병에 감염된 돼지는 아미노산을 잘 소화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화되기 쉬운 사료를 공급해 주는 것이 좋다.

      1. 예방
      ○ 약독화된 생독백신이 현재 제품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병원체 감염에 의한 임상증상과 병변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음.
      ○ 항생제를 이용하여 농장에서 병원체를 근절시킬 수 없으므로 종돈구입시 청정돈 도입으로 질병의 농장내 유입을 막아야 함.
       
       
    • 관련제품
      • 서울린코-8..
      • 서울-타이라..
      • 서울 타이로..
      • 서울 린코산..
      • 서울-티아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