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돼지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 PED)
    • 원인
      1. 정의
      ○ 돼지 유행성설사(Porcine epidemic diarrhea : PED)는 돼지유행성설사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하여 연령에 관계없이 발생되는 돼지의 전염병으로 구토와 수양성 설사가 특징
      ○ 돼지전염성위장염(TGE)과 매우 유사한 증상을 일으키나 2주령 미만 신생자돈의 폐사율이 돼지전염성위장염보다 낮고 비육돈 및 성돈에서의 발병은 전염성위장염보다 흔함
      ○ 이 병은 1992년 처음으로 국내에서 발생보고 된 후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돼지전염성위장염과 더불어 포유자돈 설사병 중 가장 피해가 심한 질병으로 최근 발생이 증가되고 있음

      2. 병원체
      ○ PED의 원인체는 PEDV로 돼지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Transmissible Gastroenteritis:TGEV)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과(Coronaviriade)의 코로나 바이러스(Coronavirus)에 속하며 RNA 바이러스임.
      ○ PEDV는 60℃이상에서 30분간 처리하면 감염력을 상실하나 50℃에서는 감염력이 완전히 상실되지 않음.

      3. 전염경로
      ○ 이 바이러스는 주로 감염돈의 분변에 의해서 경구감염된다는 점에서 TGE와 유사하여 감염돈의 분변이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함.
      ○ 농장내에 PED바이러스의 침입은 감염동물이나 농장내 출입 차량에 의해서 농장내로 전파되며, 돈사간 전파는 바이러스에 오염된 신발, 의복, 양돈기구 등을 통하여 다른 돈사로 바이러스가 쉽게 전파됨.
      ○ 특히 농장내에서 PED의 발생은 돼지를 팔거나 새로 구입한 돼지를 입식시킨 후 4~5일 이내에 많이 발생됨으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함.

       
    • 증상
      ○ 발병율은 신생자돈이나 육성돈에서 100%에 가깝지만 성돈이나 번식돈에서는 15~90%정도임.
      ○ 잠복기는 신생자돈의 경우 22~36시간, 비육돈은 2일이지만 자연감염시에는 비교적 잠복기가 김.
      ○ 어린 일령일수록 증상이 심하며, 1주령 미만의 포유자돈이 감염되면 구토증상과 서로 포개고 뒤엉킨 상태에서 심한 수양성 설사를 하고, 2~3일간 젖을 빨지 못하면 탈수증으로 대부분 폐사함.
      ○ 자돈의 폐사율은 생후 1주령미만의 경우 평균 50%이고 심할 경우 80%까지로 높음.
      ○ 이유자돈은 수양성설사가 4~6일정도 지속된 후 변이 점조성으로 되고 대부분 회복되지만 체중감소가 심함.
      ○ 비육돈군에서 PED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같은 돈사내의 모든 비육돈이 설사증상을 보인 후 1주 정도 지나면 회복되며 폐사율은 1~3%정도로 낮다. 성돈은 대부분 구토, 원기소실, 식욕결핍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회복하지만, 설사를 1주 정도하는 경우도 있음.
    • 예방 및 치료
      1. 예방
      ○ 포유자돈에서 PED로 인한 자돈설사를 예방하기 위해 백신을 임신모돈에 매 분만 5~6전에 1차 예방접종하고 다시 분만 2~3주전에 2차 예방접종하여 분만 후 초유를 통하여 자돈에 모체이행항체를 이행시켜 줌으로써 포유자돈의 설사를 예방할 수 있음.
      ○ 모돈 분만예정일이 2주 이내인 경우 모돈의 돈체를 철저히 소독한 후 분만실로 이동시키고 병원체의 전염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역관리를 철저히 하여 최소한 분만 후 3주까지는 포유자돈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도록 해야함.
      ○ 농장내에 PED가 발생한 경우 방역대책으로 분만시기가 임박한 모돈은 청정한 장소에서 분만을 시키고, 자돈은 생후 3주까지는 완전 격리사육 해야 하며, 어린 자돈의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해 보온, 건조, 통풍이 잘 되게하고 다량의 수분과 전해질, 대용유 등을 충분히 먹이는 것이 좋음. 

      2. 치료
      ○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제는 없는 실정임.
      ○ 2차 세균감염 방지를 위해 항생제나 항균제를 투여하고, 탈수를 완화시켜주기 위해 포도당이나 전해질을 충분히 공급해주고 항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하며, 보온은 물론 쾌적한 환경을 유지시켜 자돈의 폐사를 줄이도록 해야함.
       
    • 관련제품
      • 서울-슈프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