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소바이러스성설사병
    • 원인
      이 병은 소 바이러스성 설사증 바이러스(BVDV)의 감염에 의하여 발병하는 소의 전염병으로서 소화관 점막의 궤양과 설사, 호흡기 병변 등을 유발하고 심하면 폐사하는 질병이다. 본 병의 원인체는 Flaviviridae의 pestivirus속으로 분류되는 RNA 바이러스이며 세포주에서 세포변성효과를 일으키는지의 유무에 따라 세포변성주(NADL, Singer, T20주 등)와 비세포변성주(New York주 등)로 분류되며, 형태학적으로는 지름이 40~60nm의 구형으로 envelope을 가지고 있다. BVD의 감염경로는 분변으로 오염된 사료에 의한 경구감염과 태반감염이 주가되나 호흡기 및 생식기 감염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생식기 감염은 정액과 수정란을 통하여 전염될 수 있다고 한다.
      소 바이러스성 설사증 바이러스에의한 세포변성효과

      그림 1. 소 바이러스성 설사증 바이러스에의한 세포변성효과

    • 증상
      (1) 급성형
      4~24개월령의 소에 감염시 다발하며, 임상적으로는 심한 설사, 백혈구 감소증, 식욕절폐, 유량감소, 기침, 호흡촉박, 콧물, 탈수에 의한 폐사 등의 증상을 나타낸다.
      병리학적으로는 구강점막의 난반 및 궤양, 심한 경우 잇몸과 경구개를 포함한 입전체 상피세포의 탈락 및 심한 유연, 분만 등의 스트레스나 다른 2차 감염이 병발할 경우 전신 장기의 충출혈을 들 수 있다.
      (2) 준임상형
      전연령층에 발병 가능하며, 약한 발열 백혈구감소증, 기침 및 구강점막의 산발적 난반이 관찰된다. 준임상형으로부터 회복된 암소의 경우 대개 유산이나 선천성 기형우 분만률이 높다.
      (3) 호흡기형
      주로 3~6개월령에 다발하며, 발열, 콧물, 호흡촉박을 보이다가 스트레스나 2차 감염이 없으면 쉽게 회복된다.
      (4) 번식장애형
      임신초기의 암소에 감염시 다발하며, 태반감염으로 인한 유산 흑자 및 사산이 일어나거나 신생우의 운동실조 및 나약증세를 일으킨다. 태자의 흉선 및 중추 신경계조직의 기형 즉 소 뇌형성 부전 및 눈의 기형 등의 병리소견을 나타낸다.
      (5) 만성형
      준임상형 또는 급성형 감염으로부터 회복한 소에서 다발하며, 간헐적 설사, 콧물, 콧등의 각피형성, 눈물, 피부의 균혈증, 일시적인 구강내 난반 및 궤양 등 의 증상을 나타낸다.
      감염우에서 항체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심한 면역기능 저하를 야기하여 생산성이 극도로 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6) 기타증상
      유방염, 태반정체의 다발 및 일시적 당뇨병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나. 진단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PCR에 의한진단 Neutralization Peroxidase-
            linked Assay(NPLA)
      그림 2. 소 바이러스성 설사병 바이러스의 PCR에 의한진단 그림 3. Neutralization Peroxidase- linked Assay(NPLA)
      본 병의 진단은 증상이 다양하므로 임상증상만으로는 완전한 진단이 불가능 하고 여러 질병과의 감별진단이 필요하다. 소화기(설사)증상으로 로타바이러스, 코로나바이러스, 대장균, 살모넬라 등과 감별이 필요하며, 호흡기 증상으로 소 전 염성 비기관염, 파라인플루엔자-3, 소 합포체성 폐렴 등과 감별, 번식장애증상으로 아까바네병, 소 전염성 비기관염, 부루셀라병 등과 감별진단에 유의해야 한다.
      실험실 진단방법으로는 항체증명법으로 중화시험, ELISA 등이 있으며, 항원(바이러스)증명법으로는 형광항체법, NPLA(Neutralization Peroxidase linked Immuno-sorbant Assay), 전자현미경법, 바이러스분리, PCR 등이 있다.
    • 예방 및 치료
      가. 사양관리의 개선
      외부로부터의 병인체의 침입을 방지하고 우사 및 운동장의 청결소독과 분만우의 유두, 유방, 항문의 세척소독 및 분만사의 소독, 사료와 물을 통한 병원체의 감염을 막기 위해 사료통과 물통을 높이 설치한다.
      나. 면역학적 예방관리
      (1) 수동면역(어미의 초유를 통한 면역)을 확보
      분만 송아지의 초유 섭취를 확실히하여 영양 및 면역형성에 철저를 기해야 한다. 초유 섭취가 불가능한 송아지나 어미 소의 비유능력이 부족할 경우 다른 소의 초유를 일반적으로 생후 2시간 이내에 체중 Kg당 50ml정도 인공포유 시킨다.
      (2) 능동면역(예방백신 등을 이용하여 면역시키는 방법)
      사독백신 (Killed vaccine) 접종이 임신우에서도 안전하며, 송아지에서는 3~5개월령에 접종한다. 백신의 접종시기는 모체이행항체의 소실시기 등에 따라 조절해 주어야 한다.
      다. 치료
      대증요법으로 전해질 및 수액제재를 공급하여 탈수를 방지하고, 광범위항생제를 사용하여 세균의 2차 감염을 방지하며, 면역혈청요법으로 면역제재 또는 어미의 초유를 냉장 보관해 두었다가 심한 감염 소에 먹임으로써 증상을 완화 시키는 방법 등이 있다.
       

      참 고 문 헌

      • Donis, R. O. and Dubovi, E. J. 1987. Characterization of bovine viral diarrhea-mucosal disease virus-specific protein in bovine cells. J. Gen. Virol. 68 : 1597~1605.
      • Horzinek, M. C. 1990. Bovine Virus Diarrhea Virus : an introduction. Rev.
      • Sci. tech off. int. Epiz. 9(1) : 13~23, 24~41.
      • John F. Timoney et al. 1988. Hagan and Bruner's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of Domestic Animals. 8th ed. Comstock Publishing Associates.
      • A division of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and London.
      • Meyling, H. Houe and A. M. Jensen. 1990. Epidemiology of bovine virus diarrhea virus. Rev. Sci. tech off. int. Epiz. 9(1) : 75~93.
      • 석호봉 외 1987. 한국에서의 소바이러스성 설사병(BVD)에 관한 연구.
      • 서울대학교 수의대논문집. 12(1) : 63~81, 12(2) : 151~170.
    • 관련제품
      • 하이실린(Hi..
      • 서울-다이베..
      • 서울-콜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