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돼지인플루엔자(Swine influenza)
    • 원인
      1. 정의
      ○ 돼지인플루엔자는 type A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돼지에서 발생하는 급성 전염성 호흡기 질병임.
      ○ 이 질병은 갑작스럽게 시작되어, 기침, 호흡곤란, 발열, 주저앉는 증상을 보이다 빠르게 회복됨.
      ○ 병변은 호흡기도에 한정되나, 일부 심한 폐렴으로 진행되어 폐사되는 경우가 있음.

      2. 병원체
      ○ 돼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Orthomyxoviridae의 influenza type A 바이러스에 속하며 RNA바이러스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바이러스 단백질 중 NP와 M단백질의 관련성에 따라 A, B, C로 나눠어짐.
      ○ 비정형으로 대표적인 glycoprotein인 hemagglutinin(H)와 neuraminidase(N)이 있는 envelope 바이러스임.
      ○ 15종의 H형과 9종의 N형을 기본으로 여러 조합형의 바이러스가 존재하며 주로 돼지에서 H1N1형과 H3N2형이 유행하고 있음.
      ○ RNA게놈은 8개의 절편으로 되어 있어, influenza A 바이러스들이 혼합 감염시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서 변종바이러스의 출현이 심함.
      ○ 바이러스는 외부환경에서 오래 견디지 못함.

      3. 전염경로
      ○ 돼지간 전파는 종돈, 비육돈 등 돼지의 이동에 의하여 이 병이 유입됨.
      ○ 비말, 접촉에 의해 감수성 있는 돼지에 전파되며, 밀집 사육된 돈군에서는 공기 전파도 가능함. 일단 돈군에 전파되면 그 돈군을 완전히 제거하고, 소독하지 않는 한 지속적인 재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
      ○ 사람, 돼지, 오리, 칠면조 분리주간의 교차감염이 일어날 수 있음.
      ○ 사람과 돼지간에 질병이 전파될 수 있음.
    • 증상
      ○ 봄, 가을에 주로 발생하나 항체검사결과 거의 계절적인 특징이 없어, 돼지들은 큰 증상없이 여름동안 질병을 앓게 된다는 것이 밝혀졌음.
      ○ 발생에 관여하는 스트레스 요인은 돼지이동, 돼지 혼사, 낙후된 격리시설, 심한 주야 온도차, 과밀사육 등이 있음.
      ○ 잠복기는 1~3일 이며 경우에 따라 4시간임.
      ○ 1~5두 정도의 돼지가 첫 임상증상을 보인 후 2~5일이 지나면 전 돈군에 전염되어 임상증상이 보이게 됨.
      ○ 감염된 동물은 활동성 저하, 침울, 포개짐, 식욕부진, 복식호흡, 호흡곤란, 기침, 콧물 분비, 안 종대, 체온상승(40.5~41.5℃), 체중감소 등의 증상을 보임. 그러나, 폐사율은 낮음.
      ○ 직장온도의 상승으로 유산, 불임, 허약한 자돈생산이 증가함.
      ○ 회복은 일반적으로 첫 임상증상을 보이고 5~7일이 지난 후 시작됨.
      ○ 보균돈이나 자연감염에 의해 여름동안 거의 증상이 없었던 어린 돼지에 매년 재 감염이 일어남.
      ○ 비복합 감염인 경우 사후병변이 거의 없음. 다만, 단단한 엽간 종대가 보일 수 있으며, 임파절 종대, 기관내 포말 등이 관찰됨.
      ○ 돼지 인플루엔자는 mucociliary escalator를 파괴하여 기관벽을 손상시킴.
       
    • 예방 및 치료
      1. 예방
      ○ All-in/All-out 시스템이 질병의 전파방지에 도움이 됨.
      ○ 오리나 칠면조 등 조류와의 접촉을 피함.
      ○ Influenza virus에 감염된 사람의 경우 돼지와의 접촉을 피함.
      ○ 건물을 청소할 때는 소독제를 사용함.
      ○ 사독백신(3주간격으로 2회 접종)을 사용하면 다소 도움이 되나, 바이러스의 잦은 변이로 인해 경우에 따라 효과가 없을 수 있음.

      2. 치료
      ○ 특별한 치료법은 없음.
      ○ 깨끗한 음료, 안락하고 외풍없는 돈사, 깨끗하고 적절한 상대습도가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함.
      ○ 2차 복합감염을 막기 위해 항생제나 항균제를 처방할 수 있음. 심한 개체의 경우 항균제 외에 다른 보충 치료제를 사용할 수 있음.
    • 관련제품
      • 브로민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