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mpany
    • CEO인사말
    • 회사연혁
    • 제조시설
    • 경영방침
    • 조직도
    • 글로벌 네트워크
    • 찾아오시는 길
  • service
    • 신제품
    • 양계용 제품
    • 양돈용 제품
    • 축우용 제품
    • 수산용 제품
    • 사료공장용 제품
    • 반려동물용 제품
  • pr inside
    • 질병정보
    • 제품/질병상담
  • client
    • 공지사항
    • News
    • 동영상·포토갤러리
  • board
  • contact us
    • E-Catalog
    • 추천사이트
    • 자유게시판
    • 사이트맵
  • HOME > 질병정보 > 질병정보
    • 돼지 연쇄상구균 감염증
    • 원인
      돼지의 연쇄상구균감염증중 가장 중요한 질병이 스트렙토코크스 수이스(Streptococcus suis) 감염증이다. Streptococcus suis는 주로 돼지에서 뇌막염, 패혈증, 폐렴, 관절염, 심내막염, 질염, 유산 등을 유발하는 병인체로써 우리나라를 위시하여 북미, 유럽, 등 전세계적으로 발생보고가 있다. 특히 비육돈에서는 폐렴 등의 호흡기감염으로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하며 최근에는 이유자돈에서 급성폐혈증에 대한 사례가 많다. 특히 S suis는 숙주역이 넓어 돼지뿐 만 아니라 반추수, 조류 등에서도 보고가 있으며, 주로 상처를 통해 돈육취급업자, 도축업자, 수의사 등에게 피부의 상처를 통해서 감염된다. 사람에서의 증상은 돼지와 비슷하여 뇌막염, 패혈증, 화농성 관절염, 인후두염, 설사 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질병이 1960년대 초반에 보고된 이후로 지금까지 35종의 혈청형(1~34형, 1/2형)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것외에도 혈청형이 동정되지 않은 것이 많아서 앞으로 더욱 많은 혈청형이 보고되리라 본다.

      1. 원인체 및 감염경로

      가. S. suis의 생화학적인 특성

      Streptococcus suis는 그람양성의 구균으로서 면양혈액배지상에서 37°c 부란기에서 하루 배양하면 대부분 불완전 용혈로 직경 1~2mm의 반투명한 흰색 집락을 보인다. 이들 불완전 용혈균주를 대상으로 catalase시험, oxidase시험, 전분분해시험, VP시험 등을 거쳐 정밀 진단을 실시하나 Streptococcus속에 해당하는 균들은 종류가 많기 때문에 전문실험실에 의뢰하여 정확한 동정이 요구된다.

      S. suis의 생화학적인 특성표
      시험종료 결과
      아밀라제 생산능 +
      VP -
      Catalase -
      Oxidase -
      CAMP -
      바시트라신 민감도 +
      6.5% NaCl broth에서 발육능 -
      Hippurate 분해능 -
      arabinose 분해능 -
      salicin 분해능 +/-
      sorbitol 분해능 -
      trehalose 분해능 +

      2. 국내외 발생현황

      우리나라뿐 만 아니라 거의 전세계적으로 발생보고가 있으며 주로 건강보균돈의 입식에 의해 전파된다. 감염모돈은 자돈에게 호흡기로 감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런 자돈들을 혼합할 시 본 병이 더욱 확산된다. 발병은 집단 다두 사육시, 가을에서 봄까지 추위 스트레스에 의해서 많이 발병한다.

      최근 돼지의 질병퇴치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는 투약조기이유(medicated early weaning)를 실시하기도 하나 본 균은 감염모돈에서 자돈으로 전파되는 시기가 생후 5-10일령 이내이므로 5일이전에 이유하거나 모돈을 청정화하지 않는 한 감염모돈에서 자돈으로의 전파를 막을 길이 없으며 일단 농장에 본 질병이 발생하면 그만큼 근절하기가 힘든 질병중의 하나이다.

    • 증상

      3. 임상증상 및 진단

      심급성형의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없이 폐사하거나 뇌막염 증상을 나타낸다. 대부분의 경우 식욕부진, 우울, 발진, 발열, 마비, 신경증상을 일으킨다. 부검시 임파절의 종창과 발적, 다발성 장막염이 나타나며 뇌에 항상 병변이 관찰되는 것은 아니다. 뇌병변은 뇌나 수막의 부종이나 충혈, 화농성 뇌막염, 많은 혼탁한 뇌척수액이 관찰되기도 한다

    • 예방 및 치료

      4. 치료 및 예방대책

      주로 베타-락탐계열의 항생제(엠피실린, 세파로틴, 페니실린)가 권장된다. 한편 타이로신, 린코마이신, 옥시테트라사이클린, 스펙티노마이신 등에는 저항성이 강하므로 사용시 신중히 고려해야 한다.

      백신 사용과 관련하여 본 질병은 혈청형이 다양할 뿐 만 아니라 혈청형간의 교차방어능이 없으므로 백신제조에 앞서 먼저 국내에서 유행하는 혈청형 파악이 선결과제이다. 따라서 지금 상황으로서는 양돈장에서 본 질병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자가백신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 관련제품
      • 콤비프린스
      • 플로펜액20..
      • 플로펜액10..
      • 플로펜액(Fl..